미가힐링센터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사야 칼럼
이사야 칼럼 은혜의 메아리
이사야 칼럼
미가힐링센터  >  칼럼  >  이사야 칼럼

오늘 현충일에 한 편의 시를 권해드린다. 아래 모윤숙 시인의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시는 눈물을 흘리지 않고 읽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한국인이 아닐 것이다. 1950년 8월 어느 여름날 동족간의 전쟁 와중에 산골에 쓰러져있는 국군의 시체를 보고 느낀 격정을 장문의 시로 읊어낸 것은 그녀의 시심이 무르익은 40세 무렵이었으니 진정 시인의 혼을 타고난 분이다. 

아래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희생한 애국자들이 있기에 이땅의 나라도 살뿐 아니라 하늘나라의 이치도 그러하다는 메시지이다. 


< 일찍이 주님께서 많고 많은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하나님께서 하셔야할 일들을 이끌어가게 하셔서 이렇게 사람사람을 그때그때마다 쓰시고 그때그때 희생(犧牲)하게 하시고 그때그때마다 드러나게 하여주셔서, 희생자(犧牲者)가 있기에 오늘에 이렇게 드러낼 수 있는 일들을 하게하신 것을 생각할 때마다 하나님께 너무나 감사합니다. 이 땅에 생명을 드려진 희생이 드려진 모든 것을 나의 일이 아니라 이것은 하나님께서 내게 부탁(付託)하신 일이며 하나님께서 희생(犧牲)하라고 한 일이며 하나님께서 생명(生命)을 드리라는 일이었기에 은혜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함께 생명을 드려진 이 나라를 위해 희생되어진 자들이 있었기에, 또 믿음으로 다져진 하나님의 믿음의 사람들도 있지만 나라를 위해 헌신(獻身)하며 희생하며 생명을 드린 애국자(愛國者)들이 있기에 오늘에 이러한 나라로 세울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신 주님께 참으로 감사드립니다. 일찍이 많은 자들이 희생되어 오늘에 이 일을 이루기 위해서 그때그때마다 쓰시기로 준비된 영혼영혼들을 통해서 희생된 애국자(愛國者)들과 생명을 드린 믿음의 사람들의 순교적(殉敎的)인 희생으로 말미암아 오늘에 존재하는 한국을 생각할 때마다 너무나 감사하며 세계 속에 우뚝 선 나라로 세워주심을 너무나 감사합니다. 일찍이 우리 주님께서 세워주신 대한민국 세계 속에 드러나게 하시고 역사하여 주셔서 많은 은혜 가운데 이 나라를 세워가시는 은혜(恩惠)를 생각할 때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애국자들이 있었고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많은 믿음의 사람들도 있었지만, 특별히 하나님 앞에 생명을 걸고 이 나라에 애국적(愛國的)인 목회(牧會)로 승리할 수 있으며 생명을 드린 목회자들이 있었기에 희생하는 자들이 있었기에, 끝까지 나를 드러내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서 일했던 순교적(殉敎的)인 목회자들이 있었기에 오늘에 세워주신 은혜를 생각할 때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하나님의 구원의 뜻이 있었기에 오늘의 이 일을 이루어가심을 생각할 때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일찍이 우리 주님께서 이 나라에 많은 믿음의 목회자들 많고 많은 교회를 세워주셨지만 자기(自己) 교회만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나라와 민족을 위해서 기도하게 하시고 그 나라를 위해 희생된 모든 하나님의 교회들 특별히 많은 연단과 어려움을 당한 것 같으나 하나님께서는 그 일을 통하여 더 크게 역사하시는 그 교회를 기억하시고 마지막까지 축복해 주심을 감사합니다. ... > (2005.5.11 14:30 대전 ICU)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 모윤숙 (나는 광주 산곡을 헤매이다 문득 혼자 죽어 넘어진 국군을 만났다)

 

산 옆의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 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나는 죽었노라 스물다섯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의 아들로 숨을 마치었노라

질식하는 구름과 원수가 밀려오는 조국의 산맥을 지키다가

드디어 드디어 숨지었노라

 

내 손에는 범치 못할 총대 내 머리엔 깨지지 않을 철모가 씌워져

원수와 싸우기에 한 번도 비겁하지 않았노라

그보다도 내 피 속엔 더 강한 혼이 소리쳐

나는 달리었노라. 산과 골짜기 무덤과 가시 숲을

이순신(李舜臣) 같이, 나폴레옹 같이, 시이저 같이,

조국의 위험을 막기 위해 밤낮으로 앞으로 앞으로 진격! 진격!

원수를 밀어 가며 싸웠노라

나는 더 가고 싶었노라. 저 원수의 하늘까지

밀어서 밀어서 폭풍우같이 모스크바 크레믈린탑까지

밀어 가고 싶었노라

 

내게는 어머니, 아버지, 귀여운 동생들도 있노라.

어여삐 사랑하는 소녀도 있었노라.

내 청춘은 봉오리지어 가까운 내 사람들과 함께

이 땅에 피어 살고 싶었었나니

아름다운 저 하늘에 무수히 나르는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나는 자라고 노래하고 싶었노라.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나는 그래서 더 용감히 싸웠노라. 그러다가 죽었노라.

아무도 나의 죽음을 아는 이는 없으리라.

그러나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여!

숨지어 넘어진 이 얼굴의 땀방울을

지나가는 미풍이 이처럼 다정하게 씻어 주고

저 하늘의 푸른 별들이 밤새 내 외롬을 위안해 주지 않는가!

 

나는 조국의 군복을 입은 채

골짜기 풀숲에 유쾌히 쉬노라.

이제 나는 잠시 피곤한 몸을 쉬이고

저 하늘에 날으는 바람을 마시게 되었노라

나는 자랑스런 내 어머니 조국을 위해 싸웠고

내 조국을 위해 또한 영광스레 숨지었노니

여기 내 몸 누운 곳 이름 모를 골짜기에

밤 이슬 내리는 풀숲에 나는 아무도 모르게 우는

나이팅게일의 영원한 짝이 되었노라.

 

바람이여! 저 이름 모를 새들이여!

그대들이 지나는 어느 길 위에서나

고생하는 내 나라의 동포를 만나거든

부디 일러 다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고

저 가볍게 날으는 봄나라 새여

혹시 네가 날으는 어느 창가에서

내 사랑하는 소녀를 만나거든

나를 그리워 울지 말고, 거룩한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 일러 다오

조국이여! 동포여! 내 사랑하는 소녀여!

나는 그대들의 행복을 위해 간다.

내가 못 이룬 소원 물리치지 못한 원수,

나를 위해 내 청춘을 위해 물리쳐 다오.

 

물러감은 비겁하다 항복보다 노예보다 비겁하다.

둘러 싼 군사가 다 물러가도 대한민국 국군아! 너만은

이 땅에서 싸워야 이긴다, 이 땅에서 죽어야 산다.

한 번 버린 조국은 다시 오지 않으리라, 다시 오지 않으리라.

보라, 폭풍이 온다 대한민국이여!

 

이리와 사자 떼가 강(江)과 산(山)을 넘는다.

내 사랑하는 형과 아우는 서백리아 먼 길에 유랑을 떠난다.

운명이라 이 슬픔을 모른 체하려는가?

아니다, 운명이 아니다 아니 운명이라도 좋다.

우리는 운명보다 강하다! 강하다!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

그 억센 팔다리, 그 붉은 단군의 피와 혼,

싸울 곳에 주저 말고 죽을 곳에 죽어서

숨지려는 조국의 생명을 불러 일으켜라.

조국을 위해선 이 몸이 숨길 무덤도 내 시체를 담을

작은 관도 사양하노라.

오래지 않아 거친 바람이 내 몸을 쓸어 가고

저 땅의 벌레들이 내 몸을 즐겨 뜯어 가도

나는 즐거이 이들과 함께 벗이 되어

행복해질 조국을 기다리며

이 골짜기 내 나라 땅에 한 줌 흙이 되기 소원이노라.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운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 나이팅게일 : 지빠귀과의 새로 휘파람새와 비슷함. 밤꾀꼬리.

* 서백리아 : 시베리아.

(출전: 시집 [풍랑], 1951)

 

간단 해설:

1990년에 사망한 여류시인 모윤숙(毛允淑)이 지은 시입니다.

6.25전쟁이 한창인 1950년 8월에 쓰여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951년 문성당에서 간행된 시집 <풍랑(風浪)>에 수록되어 있고 그후에도 여러 시집에

실려 있으며,총 12연 90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ㆍ25전쟁 때, 미처 피난하지 못하고 숨어 지내던 경기도 광주 근처 산골에서 죽어

넘어진 국군의 시체를 보고 썼다고 모윤숙 자신이 시작 메모에서 밝혔습니다.

죽은 보병의 시체를 보고 자신이 상상한 이야기를 시로 형상화한 작품이며 수미상관의

형태를 통해 구조의 안정성을 꾀하고 있습니다.


* 위 시는 동해사령관을 역임하신 유병호 제독님께서 며칠 전에 필자에게 보내주셨다. 


<관련 미가608 메시지>

http://www.micah608.com/xe/?document_srl=13384 (애국자들이 있었기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5500 3당 모두 '내부수리중' 2016-06-30 isaiah
5499 세계최고(8%)의 AIDS 상승국 2016-06-29 isaiah
5498 진리의 빛이 사라진 영국 2016-06-28 isaiah
5497 던져버릴 수 있는 능력 2016-06-27 isaiah
5496 코리아가 우뚝 서는 과정 2016-06-25 isaiah
5495 정치인들의 지모와 재능 2016-06-24 isaiah
5494 6.25와 7가지 기적 2016-06-21 isaiah
5493 중산층의 붕괴 2016-06-20 isaiah
5492 북핵시설 초토화 시나리오 2016-06-17 isaiah
5491 행복의 키워드 '관계' 2016-06-15 isaiah
5490 애국을 천시하는 풍조 2016-06-13 isaiah
5489 장묘문화의 개혁 imagefile 2016-06-11 isaiah
5488 정세균 의장의 약속 기대한다 2016-06-09 isaiah
5487 선진 의료 한국 2016-06-08 isaiah
» 현충일에 눈물적시며 읽는 詩 2016-06-06 isaiah
5485 k-pop에 열광하는 현상 2016-06-05 isaiah
5484 상급자의 구조적 착취 2016-06-04 isaiah
5483 공의(公義)가 소수자 인권에 앞선다 2016-06-03 isaiah
5482 윤형주 장로와 미당 2016-06-01 isaiah
5481 양보할 수 없는 가치관 2016-05-30 isaiah

대전 유성구 덕명동 191-6   Tel : 010-4611-1608   E-mail : micah60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