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가힐링센터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사야 칼럼
이사야 칼럼 은혜의 메아리
이사야 칼럼
미가힐링센터  >  칼럼  >  이사야 칼럼
「야베스의 기도」에 대한 유감  
 
요즘도 ‘야베스(Jabez)의 축복 기도’가 인기라 합니다. 「야베스의 기도」 (브루스 윌킨스 著)라는 책이 나와서 미국에서부터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었고 한국에서도 번역되어 아직도 여전히 베스트셀러입니다. 우리 인간은 참으로 축복을 좋아하나 봅니다. 야베스에 대한 성경말씀은 아래와 같습니다.

"야베스는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 그 어미가 일러 야베스라 하였으니 이는 내가 수고로이 낳았다 함이었더라. 야베스가 이스라엘 하나님께 아뢰어 가로되 원컨대 주께서 내게 복에 복을 더 하사 나의 지경을 넓히시고 주의 손으로 나를 도우사 나로 환난을 벗어나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하였더니 하나님이 그 구하는 것을 허락하셨더라"(대상 4:9~10) 

야베스에 대한 구약 성경은 여기와 역대상 2장 55절에 한 번 더 나옵니다. 나머지 야베스라는 이름이 구약에 많이 나오는데 한글로 번역하면서 야베스로 번역했기 때문이며 나머지 야베스는 모두 원 이름이 이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역대상 4장 9, 10절에 나와 있는 것이 전부이고 동 책 장 55절의 야베스까지 동일 인물이라 해도 2장 55절은 하나님의 축복을 이해하는 데에는 큰 의미가 없는 절입니다. 따라서 야베스에 대한 성경에서의 언급은 역대상 4장 9절과 10절이 전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야베스의 핵심은 그가 받은 ‘축복’이 아니라 그의 ‘인품’이다

저는 이 책에서 야베스가 구하여 얻은 것보다는 오히려 그 앞에 오는 것들에 관심이 많습니다. 즉 "그가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는 것과 "나의 지경을 넓히시고"에 더 주목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유감스럽게도 그의 인품이나 그의 행위에 대해서는 거의 나와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그의 성품이나 그의 한 일에 대해서는 전혀 나와 있지 않은데 오직 그처럼 기도하여 축복을 받자고 하는 것은 뭔가 설득력이 모자랍니다. 

그 이외의 것은 매우 평범한 구약적인 기도입니다. 즉 "원컨대 주께서 내게 복에 복을 더 하사" 와 "주의 손으로 나를 도우사 나로 환난을 벗어나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라는 기도는 매우 평범한 기도라는 것입니다. 그 밖의 것은 그의 기도에서 몇 번 묵상 해 보아도 그 「야베스의 기도」라는 책을 읽어보아도 특별히 더 얻을 수 있는 교훈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저는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영성이 그 책 저자와 내가 다르기 때문에 깨달음이 모자란다 해도 무엇인가 허전합니다. 오히려 그 「야베스의 기도」라는 책에서는 큰 이상을 품고 미래의 나를 그리면서 활기 있게 믿음을 실천하는 젊은이들이 오히려 나에게는 도전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축복을 받았다는 결과보다는 은혜의 시대에 주님이 원하시는 기도 즉 바울의 목숨을 걸었던 기도, 모세가 그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저주를 받아서 고통 받고 있을 때 그의 백성을 구하기 위해 하나님께 드렸던 기도, 스데반 목사님이 돌에 맞아 순교하는 순간에도 오히려 자신에게 돌을 던지는 자들을 위한 기도, 베드로 사도의 고난을 기뻐하는 기도에서 오히려 더 위로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그보다 더 간절한 기도를 드린 사람들이 신약 성경을 통하여서나 앞서 가신 우리 믿음의 선진들이나 지금 믿음의 경주를 하시는 분들 중에 매우 많다고 믿습니다. 다만 다른 것이 있다면 그가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 했습니다. 이는 사람의 입장에서 존귀하다는 것인지 하나님의 입장에서 존귀한 자라는 뜻인지는 알 수는 없습니다. 결국 그가 축복을 받았으므로 하나님의 입장에서 존귀한 자 이었을 것입니다. 마치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여 죽음을 보지 않고 하나님의 품으로 간 것과 같은 축복을 누렸음 직합니다. 그리고 저는 개인적으로 "지경을 넓히사" 에 주목하고 싶습니다. 

하나님은 율법의 시대인 구약시대와 은혜의 시대인 신약시대에 분명 그 축복의 개념을 달리 했습니다. 구약의 축복은 주시는 축복이지만 신약에서는 오히려 가져가십니다. 주셨던 것도 다른 사람을 위해서 버리라고 하십니다. 이는 율법을 지킴으로써 받는 축복의 시대와는 달리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은혜로 구원해 주셨기 때문입니다. 

이 은혜의 시대의 축복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의 도를 따르는 축복, 자신의 십자가를 묵묵히 지는 축복, 그리고 그렇게 살아가면서 받는 온갖 외로움과 고통과 손해 받음과 멸시와 조롱을 당해도 주님이 함께 하시고 주님이 알아주시는 것으로 위로를 삼을 수 있는 축복이 아닙니까? 새로운 약속은 낡은 약속보다 우선 합니다. 낡은 계약서를 가지고 새로 만들어진 계약서를 대신 할 수 없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야베스가 하나님을 위하여 그만이 갖고 있던 성품이나 무슨 훌륭한 행동이나 모세나 다윗처럼 본을 보인 것이 있어서 그를 본받자고 하면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나의 인생여정에서 그를 본받아야 하는지 도무지 알지 못합니다. 

-예수와 바울이 이야기한 축복은 영적 축복

유진 피터슨의 「한 길 가는 순례자(A Long Obedience in the Same Direction)」를 보면 “복(blessing)이란 단어는 본문에(시 128편) 나타난 대로 행복한 상태를 말한다. 복이란 결코 외적이거나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뜻밖의 운수대통이나 길일(吉日)과는 거리가 멀다. 성경이 말하는 복이란 영혼의 내적인 힘이다. 행복도 거기서 창출되고. 어떤 생명체도 그것 없이는 살 수 없는 생명력도 마찬가지다. 행복은 인간 바깥에 있는 그 무엇이 아니다. 하나님의 역사는 영혼의 외부가 아닌 영혼의 중심부를 겨냥한다. 그런 만큼 우리에게 채워지는 것은 외면적인 것이 아니라 에너지요, 그것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다. 결국 복이란 가장 깊고도 가장 포괄적인 의미에서 삶을 누릴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복은 어떤 생명체도 그것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생의 활력을 말한다”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끝없이 추구하게 하고 결국은 파멸케 하고 죄를 짓게 하는 돈이나 명예나 권력이나 능력 등의 외적인 것들을 복이라 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주시는 복은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주시는 평안이요, 쉼이요, 만족이요, 함께 하심 다시 말하면 동행인 것들입니다. 이것은 세상 사람들이 보기엔 별것 아닌 것이요, 비웃는 것이요, 하찮은 것이라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결국에는 그들도 부러워하는 것이요, 멋있다고 친구가 되고 싶어 하는 것이요, 닮고 싶으나 닮을 수 없어서 오히려 질투하게 되는 것입니다.

왜 우리는 예수님이나 사도 바울이 말한 것에는 눈이 멀면서 축복을 받았다는 「야베스의 기도」에는 흥분하고 열광하는 것입니까? 예수님이나 많은 성경말씀을 기록한 바울의 주장을 보면 오히려 "십자가를 지라, 제자의 삶을 살아라, 심하게는 군사처럼 살아가라" 하고 얘기하고 있지 않습니까? 예수님께서도 축복을 얘기했고 사도 바울도 축복을 얘기했지만 대부분은 영적 축복이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공짜로 받은 구원의 축복 대신에 예수님의 참 제자가 되어서 주를 위해 이 세상에서 빛과 소금으로 살라고 주님은 원하시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율법이 예수님에 의해 폐하여졌지만 주님께서는 폐하러 온 게 아니라 완성하러 오셨다 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갈 3:13) 죄와 상관이 없으신 주님은 우리를 위하여 우리 죄를 속량하기 위하여 자기 몸을 드림으로 율법을 완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도 그를 위하여 예수님의 도와 그의 부탁을 따라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것이 곧 믿음에 맞게 기도하고 행동하는 것 아닙니까? 그리고 그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진정과 신령으로 드리는 예배가 아니겠습니까? 
 
~ (후략)
-정성은, http://www.newsnjoy.co.kr/ 06-02-07

<관련 미가608 메시지>
http://www.micah608.com/5-10-17-3-evil-bahavior.ht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 "야베스 기도"는 기독교의 복음을 왜곡한 책 2006-02-15 정성은
1499 이돈희, "통일집착 세력은 대한민국과 미국을 악으로 봅니다" 2006-02-15 황호택
1498 아름다운 사람 George W. Carver (1) 2006-02-14 대파청해
1497 다수 국민을 희생하여 집단 이익을 도모하는 부류들 2006-02-14 isaiah
1496 외국인의 손에 넘어간 기업과 은행 2006-02-13 news
1495 위대한 엄마보다 더 위대한 것 - 기회의 나라 미국 2006-02-13 한은경
1494 믿음의 나라 제사장의 나라 2006-02-12 isaiah
1493 평등에의 열정을 경계해야 하는 진정한 이유 2006-02-11 김우택
1492 YMCA의 궤도이탈 2006-02-11 isaiah
1491 장성민 진행자가 진정으로 하고 싶었던 말 "비굴한 배신자!" 2006-02-11 isaiah
1490 잘 믿는 것 같지만 독재로 영혼을 희생시키는 나라들 2006-02-10 isaiah
1489 이승만이 세운 대한민국에서 그 이름을 듣기 어려워진 세상 2006-02-10 isaiah
1488 전운이 감도는 3월이 오면 2006-02-09 구국기도인
1487 부시, "후퇴에는 평화도 명예도 없다" 2006-02-09 미래한국
1486 뉴스위크,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격전략은 엄포용 아니다" 2006-02-09 news
1485 김진홍, "맥아더 동상철거를 애국운동으로 아는 또라이들 때문에" 2006-02-09 장재완
1484 이슬람 덴마크간 분쟁이 한국인에게 주는 교훈 2006-02-08 isaiah
1483 국가 발전의 동인(動因 motive) 2006-02-08 isaiah
1482 하인스 워드의 승리는 한미동맹의 승리! 2006-02-08 김필립
1481 임채정 비공개 평양행... DJ 방북 준비? 2006-02-08 ohmynews

대전 유성구 덕명동 191-6   Tel : 010-4611-1608   E-mail : micah608@naver.com